VIDEO
최병훈의 최근 조형수단은 한마디로 “억겁의 세월을 찰나에 말해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억겁동안 풍화를 겪은 자연석과 세월의 환영(幻影)이 떠오르는 즉시 단 한 개의 유기적 곡선으로 표현해 현대사회에 또 하나의 자연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병훈의 Art Furniture는 선(禪)과 합치(合致)되는 “적(寂)”이 있어서 사용자가 명상(冥想)과 사유(思惟)를 통해 스스로 현실의 번뇌를 없애고 진실된 자신인 “진아(眞我)”를 찾아 평정심(平定心)을 얻는다. 이는 곧 한국인의 정신세계와 직결되는데...
The subtitle of this article is “speaking of kalpa at the moment of ksana” because I believe that idea is inherent throughout Choi's works of art from the beginning. To put it simply, this has been true as soon as the artist thought of natural stones effloresced in the course of an eon, kalpa, and the apparition of time. Appreciating Choi’s art furniture, combined with Sun Buddhism and serenity, users find a real meditative tranquility and contemplation, free from suffering of the present realit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ual world of Koreans....

Ahn, Kui Sook / Art Historian, P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