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최병훈은 수년간 한국의 역사에서 구축된 전통적 디자인 요소를 현대미학과 맞닿게 하면서 자연의 세계와 명상을 서로 결합시켰다. 이러한 여정은 물론 작가 개인의 성찰과정이기도 하지만, 내면의 침묵을 향한 그의 여정은 작가 혼자 만의 것으로 남지만은 않는다. 왜냐하면, 최병훈은 관객이 스스로 사물의 흔적과 침묵을 사유하는 선(禪)의 실재적 공간을 창조하게 함으로써 그가 말하는 “세계의 보편적 가치”를 더불어 성찰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는 극도의 절제를 통해 관객들이 자신들의 내적 존재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나는 외부 세계의 시끄러운 소음보다 자아성찰을 선택한다.”
Over the years Choi has combined meditations on the natural world with modernist adaptations of historical Korean design elements. Though his is an individual exploration, Choi's journey towards this inner quiet is not his travel alone. In his creation of tangible spaces of Seon in which his audience completes the object's gesture, he pursues his desire to make introspection what he calls "a universal value of the world." In exercising a great restraint, he provides the viewer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own inner being. "I choose introspection rather than loud shouts from the outside world."

Janelle Zara / Art Critic